전자도서관과 함께하는 스마트한 독서 생활 멀리 있는 서점 찾아 헤매지 말고, 가까운 곳에서 독서를 즐기세요.
MAIN > 전자책 > 인문 >

[서양철학] 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

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 

교보문고 전자책 스마트폰 태블릿
저자
이진경
출판사
엑스북스(xbooks)
출간일
2020.06.25
평점 및 기타 정보
평점
(참여 0명) 리뷰쓰기-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
페이지 0 Page 이용가능환경 PC, 스마트폰, 태블릿
서비스형태 EPUB 파일크기 11 M
대출 0 / 1 예약 0
  • 콘텐츠 소개

    이제는 니체의 눈으로 니체를 읽어야 할 때!

    시대와 공감하는 철학자 이진경의 니체 강의 ‘니체의 눈으로 읽는 니체’ 3부작 『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 이 책은 니체의『선악의 저편』에 대한 강의를 엮은 것으로, 피할 수 없는 공동체성을 갖는 우리 모두의 삶에서, 공부하는 사람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일상에서 무기이자 도구로 쓸 수 있는 니체의 철학을 소개한다. 니체의 유명한 말 ‘아모르 파티’(amor fati)에는 생성을 긍정하라는 가르침이 담겨있다. 이는 단순히 현생의 삶을 긍정하라는 일차원적인 뜻이 아니라, 차라리 ‘사랑할 만한 삶을 살라!’는 외침이다. 그 진정 어린 깊이를 이해할 때 ‘삶을 사랑하라’는 구호는 ‘사랑할 만한 삶이란 대체 어떤 삶인가?’라는 질문으로 바뀌어 우리 삶을 돌아보게 할 것이다.

    이진경의 니체 강의 3부작 ‘니체의 눈으로 읽는 니체’에는 니체의 글을 니체의 문제설정에 비추어 새로이 읽겠다는 의도를 담았다. 가령, ‘귀족’이라는 단어로 ‘고귀한 자’를 표상하는 수사는 과거에 귀족이라고 불리던 자들의 가시적 특성을 고귀함의 요건으로 간주하는 오류를 저지르게 한다. 그러나 이 책과 함께 니체의 사유를 체득한 독자라면 ‘귀족’을 들여다보는 방식으로 ‘고귀한 자’를 읽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고귀함과 강함에 대한 규정을 통해 귀족의 의미마저 재정의하게 될 것이다.

  • 저자 소개

    저자 : 이진경
    본명은 박태호인데, 1987년 출판한 첫째 책 〈사회구성체론과 사회과학방법론〉이 뜻하지 않게 허명을 얻으면서 본명은 잃어버렸다. 현재 서울과학기술대 기초교육학부 교수이고 지식공동체 〈수유너머104〉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박사학위논문은 서구 주거공간의 역사와 주체생산방식에 대한 것인데, 나중에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으로 출판되었다. 〈철학과 굴뚝청소부〉, 〈노마디즘〉, 〈자본을 넘어선 자본〉, 〈코뮨주의〉,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삶을 위한 철학 수업〉, 〈파격의 고전〉, 〈불교를 철학하다〉, 〈김시종, 어긋남의 존재론〉, 〈예술, 존재에 휘말리다〉 등의 책을 썼다.
    니체는 사회주의 붕괴 이후 새로 공부를 시작하면서 들뢰즈와 더불어 읽기 시작했는데, 스피노자의 눈에 니체의 수염과 입, 들뢰즈의 턱을 한 ‘어떤’ 철학자의 초상화를 꽤나 오랫동안 그리고 있다.

  • 목차

    들어가며 7

    프롤로그_“삶을 사랑하라, 즉 사랑할 만한 삶을 살라!” 11
    1. 필로비오스 11
    2. 니체의 책들 29

    제1장 철학자들의 편견, 아니 우리들의 필연적 편견에 대하여 35
    1. 진리와 필연적 무지 36
    2. 철학자들의 편견에 대하여 49
    3. 투시주의 56
    4. 해석으로서의 과학, 신앙으로서의 과학 67
    5. ‘나는 생각한다’, 정말로? 71
    6. 의지, 미시적 의지들의 복합체 78
    7. 강자와 약자, 능동과 반동 88

    제2장 자유정신과 미래의 철학 101
    1. 조심하라, 목숨을 걸면 둔감해지느니 102
    2. 고독과 버림받음 111
    3. 도덕의 시대, 도덕 이전, 도덕 바깥의 시대 119
    4. 진리의 위험성에 대하여 124
    5. 높이 비상하려는 자를 시험하는 것들 128
    6. 미래의 철학 135

    제3장 삶을 위해 종교를 이용하는 법 143
    1. 철학을 호구로 삼는 자들 144
    2. 삶을 위해 종교를 이용하라 151
    3. 양심과 가책, 책임과 책임감 155
    4. 종교적 잔인성과 시험 161
    5. 산업사회와 ‘부지런함’의 무신론 163
    6. ‘인간육성사업’과 종교 167

    제4장 잠언과 간주곡 - 별을 따라가는 자와 별에 맞아 피 흘리는 자 173

    제5장 도덕의 자연사, 도덕의 ‘유물론’ 185
    1. 감응의 도덕, 도덕의 유물론 186
    2. 강제와 훈육을 이용하라 191
    3. 감각의 도덕은 관념의 도덕보다 빠르니 199
    4. 소유의 세 가지 개념 204
    5. 정의란 무엇인가 206
    6. 패거리의 도덕과 민주주의 216

    제6장 우리 학자들, 철학 없는 전문가들에 대하여 225
    1. 아마추어가 되라 226
    2. 철학의 몰락 231
    3. 철학 없는 철학자들 234
    4. 미래 철학의 적들 239

    제7장 우리의 덕, 미래의 덕 243
    1. 도덕적 분별, 감각적 분별 245
    2. 분별심과 뒷담화는 공동체를 잡아먹는다 249
    3. 사심 없는 자의 사심 256
    4. 역사적 감각 262
    5. 그리스 환상 270
    6. ‘블랙 아테나’, 혹은 고귀함의 혼성적 기원 278
    7. 고통과 동정 282
    8. 성실성과 잔인성 289

    제8장 민족의 생리학 293
    1. 미래의 유럽인 294
    2. 민족성과 민족주의 298
    3. 민족은 언제 어떻게 태어나는가? 301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307
    1. 니체의 눈으로 니체를 308
    2. 니체와 생물학 313
    3. 자연학에서 강함과 약함 322
    4. 투쟁하는 자와 적응하는 자 326
    5. 생명과 도덕 335
    6. 청결함과 고귀함 343
    7. 기다림, 혹은 우정에 대하여 349
    8. 거리의 파토스 357

    에필로그_나를 넘어선 나, 새로운 친구를 기다리느니… 363

  • 출판사 서평

    이진경의 해설로 다시 태어난 ‘아모르 파티’
    “삶을 사랑하라, 즉 사랑할 만한 삶을 살라”

    시대와 공감하는 철학자 이진경이 〈수유너머〉에서 진행한 니체 강의가 ‘니체의 눈으로 읽는 니체’ 3부작으로 독자들과 만난다. 그 첫 발짝을 뗀 『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는 저자가 몸담고 있는 공동체에서 겪는 일상적인 문제들,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선택한 『선악의 저편』 ‘함께 읽기’에서 탄생했다. 이는 명시적 공동체뿐 아니라 누군가와 함께 만나고 교차하는 삶, 피할 수 없는 공동체성을 갖는 우리 모두의 삶에 적용되는 바이기도 하다. 공부하는 사람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일상에서 무기이자 도구로 쓸 수 있는 니체의 철학을 소개한다.
    니체의 ‘아모르 파티’(amor fati)에는 생성을 긍정하라는 가르침이 담겨있다. 저자는 흔히 알려진 ‘운명애’라는 번역 대신 ‘삶을 사랑하라!’는 의미로 이를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한다. 이는 단순히 현생의 삶을 긍정하라는 일차원적인 뜻이 아니라, ‘사랑할 만한 삶을 살라!’는 외침이다. 그 진정 어린 깊이를 이해할 때 ‘삶을 사랑하라’는 구호는 ‘사랑할 만한 삶이란 대체 어떤 삶인가?’라는 질문으로 바뀌어 우리 삶을 돌아보게 한다.
    이러한 니체의 물음에 저자는 ‘필로비오스’(philobios)의 철학으로 답한다. ‘비오스’(bios)는 삶이나 생명을 뜻하는 ‘라이프(life), 비(vie), 레벤(leben)’에 해당하는 그리스어이다. ‘사랑’을 뜻하는 ‘필로스’(philos)와 합치면 ‘삶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는 말이 된다. 철학을 가리키는 그리스어 ‘필로소피아’(philosophia)가 ‘지혜에 대한 사랑’이라면, ‘필로비오스’는 ‘삶에 대한 사랑’으로서 ‘소피아’(지혜)에 다가서고자 한다.

    니체가 권한 니체 입문서 『선악의 저편』
    이제는 니체의 눈으로 니체를 읽어야 할 때

    니체는 자기 철학에 들어오는 입문서로 『선악의 저편』을 권한 바 있다. 니체의 글은 많은 경우 ‘분열적’ 사고의 집합인 데다가, 비판대상이 뚜렷해 전체적인 문제설정을 보기 어렵다. 때문에 단편화된 글을 어떻게 읽어 내는가, 어떻게 배열하는가에 따라 아주 다른 해석이 나올 수 있고, 각자의 편의에 맞춰 오해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선악의 저편』은 주제에 따라 분류한 글의 논지를 충분히 전개하고 있어, 니체 입문자로서 전체적인 문제의식을 읽어 내기에 용이하다. 특히 1881년 질스마리아 호수에서 영원회귀 사상의 '습격'을 받은 이후, 즉 성숙기 니체의 철학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더한다.
    이 책이 여타 니체 해설서와 다른 점은, 니체의 사유를 따라가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 필요에 따라 니체를 주도적으로 읽어내고 비판한다는 점에 있다. 니체는 통상적인 사람들이 쉽게 지나칠 것을 들리게 하기 위해 일부러 자극적인 언어를 사용했다. 여기에 19세기의 시대적 제약이 더해지며 오해의 가능성이 커진다. 이기주의와 악덕을 예찬했던 니체의 주장은 모두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레닌의 표현을 빌리자면, 구부러진 막대를 펴기 위해 반대편으로 구부리는 ‘막대 구부리기’였던 셈이고, 그러다 보니 스스로 구부러진 막대가 되는 함정에 빠지기도 했던 것이다.
    이진경의 니체 강의 3부작 ‘니체의 눈으로 읽는 니체’에는 이처럼 니체의 글을 니체의 문제설정에 비추어 새로이 읽겠다는 의도를 담았다. 가령, ‘귀족’이라는 단어로 ‘고귀한 자’를 표상하는 수사는 과거에 귀족이라고 불리던 자들의 가시적 특성을 고귀함의 요건으로 간주하는 오류를 저지르게 한다. 그러나 이 책과 함께 니체의 사유를 체득한 독자라면 ‘귀족’을 들여다보는 방식으로 ‘고귀한 자’를 읽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고귀함과 강함에 대한 규정을 통해 귀족의 의미마저 재정의하게 될 것이다.

    나와 세상의 거리를 긍정하는 용기
    ‘니체의 악조건’에서 니체를 배우다

    ‘거리의 파토스’를 언급했던 니체는 남들과 다른 자신의 감각을 긍정했다. 가령, ‘측은지심’이 선한 행위의 네 가지 단서(端緖)에 속한다고 말했던 맹자, 동정의 ‘윤리학’을 신학의 지위까지 밀고 갔던 레비나스 등과 달리, ‘동정’과 ‘연민’에 매우 비판적인 태도를 취했다. 현대의 사례에 빗대자면, 5ㆍ18 민주화운동에서 광주시민들이 피해자임을 강조하는 것은, 맨손으로 무장군대에 맞선 민중의 위대함과 사건의 혁명성을 축소하고 포기하게 하는 면이 있다는 말이다. 소수자를 ‘피해자’와 ‘희생자’로 다루는 시선은 이를 둘러싼 타자의 발언을 원천차단하고, 당사자를 피해자란 입장의 감옥에 가두며, 고통의 당사자를 “퇴화시키고 왜소화”한다는 주장은 오늘날의 독자에게도 생각의 여지를 남긴다.
    반시대적 사유를 추구했던 니체였지만, 이진경의 날카로운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