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도서관과 함께하는 스마트한 독서 생활 멀리 있는 서점 찾아 헤매지 말고, 가까운 곳에서 독서를 즐기세요.
MAIN > 전자책 > 시/에세이 >

[시] 올해의 좋은 시 100선

올해의 좋은 시 100선 

교보문고 전자책 스마트폰 태블릿
저자
이장욱
출판사
아인북스
출간일
2010.04.14
평점 및 기타 정보
평점
(참여 0명) 리뷰쓰기-올해의 좋은 시 100선
페이지 248 Page 이용가능환경 PC, 스마트폰, 태블릿
서비스형태 PDF EPUB 파일크기 3 M / 1 M
대출 0 / 5 예약 0
  • 콘텐츠 소개

    다양한 시인들이 펼치는 시의 향연!

    '2010 올해의 좋은 시' 후보에 오른 100편을 수상시와 함께 엮은 시집『2010 올해의 좋은 시 100선』. 웹진「시인광장」은 온ㆍ오프라인의 모든 문예지와 신문 등을 망라하여 매년 올해와 전년도에 소개된 신작시에 한해 '올해의 좋은 시' 1,000편을 선정하고 있다. 2010년부터는 시작품 선정 대상에서 시집을 제외했다. 이번 책에서는 1,000편의 시 가운데 '올해의 좋은 시' 상 수상작 <겨울의 원근법>과 후보에 오른 작품들을 소개한다. 다양한 시인들이 선보이는 시세계의 독특한 매력들을 엿볼 수 있다

  • 저자 소개

    이장욱 시인
    1968년 서울에서 출생. 고려대 노문과와 同 대학원을 졸업. 1994년 《현대문학》 시 부문 신인상에 당선되어 등단. 저서로는 시집『내 잠 속의 모래산』『정오의 희망곡』이 있고, 평론집 『혁명과 모더니즘』『나의 우울한 모던 보이 - 이장욱의 현대시 읽기』가 있음. 2005년 장편소설 <칼로의 유쾌한 악마들>로 제3회 '문학수첩작가상' 수상. 현재 '천몽' 동인이며 조선대학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中.

  • 목차

    웹진『시인광장』소개
    2010 '올해의 좋은시' 賞 선정 과정
    2010 '올해의 좋은시' 선정 이유
    2010 '올해의 좋은시' 賞 수상시
    수상자와의 대담

    001_ 안녕 나의 외계인 아기
    002_ 바람의 금지구역
    003_ 선장힐책(禪杖詰責)
    004_ 감염
    005_ 브롱크스 장터를 간 시인
    006_ 마다가스카르가 떠다닌다
    007_ 글자들 옆을 지나갔다
    008_ 너라는 소문
    009_ 천동설
    010_ 미술시간
    011_ 개명(改名)
    012_ 정물의 세계
    013_ 늙은 지붕 위의 여우비처럼
    014_ 복사꽃 매점
    015_ 기타소리 딩딩
    016_ 진홍빛 폐허
    017_ 총체적 즐거움
    018_ 너도밤나무
    019_ 비밀의 화원
    020_ 기하학적인 삶
    ......
    ......
    ......

    081_ 조용히 싹터가는 시체여
    082_ 얼룩
    083_ 환(幻)
    084_ 갇힌 사람
    085_ 소리를 들려주는 문장(紋章)
    086_ 벼랑 위의 사랑
    087_ 오래된 농담
    088_ 눈물의 배후
    089_ 예언자
    090_ 맞배지붕
    091_ 흩어진 말
    092_ 겨울의 이마
    093_ 제로 행성
    094_ 나라는 모순에 대하여 너
    095_ 허무함에 대하여
    096_ 저녁노을 식탁
    097_ 빌어먹을, 차가운 심장
    098_ 거울의 식성
    099_ 가랑잎 한 장
    100_ 엉거주춤

    수상시 시론

  • 출판사 서평

    “다채로운 시의 스펙트럼 ”
    시의 매력은 상상력의 복잡성과 새로운 감수성에 있다
    시인들이 꿈꾸고 희망을 담은 인생의 노래

    이장욱 시인의 ‘겨울의 원근법’이 웹진 『시인광장』이 뽑은 ‘2010 올해의 좋은 시’ 수상자로 선정됐다. 해를 거듭할수록 많은 시인과 독자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는 "올해의 좋은 시" 수상작은 매년 시인들의 추천과 심사위원회의 본심을 거쳐 공정성과 객관성을 바탕으로 선정하고 있다. 『시인광장』은 2008년부터 웹진을 포함한 모든 문예지와 신문 등 온 · 오프라인을 망라하여 매년 올해와 전년도에 소개된 신작시에 한해 ‘올해의 좋은 시 1,000’편을 선정, 소개해 오고 있다. 『2010 올해의 좋은 시 100선』은 1,000편의 시 가운데 『시인광장』 주간을 비롯하여 편집위원 전원이 참여 · 선정한, ‘올해의 좋은 시’상 후보에 오른 100편을 수상시와 함께 엮은 시집이다. 이 시집을 통하여 독자들은 다양한 시인들이 펼쳐 보인, 수많은 시세계의 독특한 매력을 한 번에 맛볼 수 있다.

    '올해의 좋은 시'賞 심사과정과 특징
    ▶ '올해의 좋은 시' 賞은 매년 '올해의 좋은 시 1000'에 선정된 시 가운데 작품성을 가장 주안점으로 평가하고 아울러 문학경력과 수상경력 등을 공정과 균형의 원칙에 의해 종합하여 선정하고 있다. 올해부터 시작품 선정 대상에서 시집을 제외하고, 올해의 좋은 시 선정의 합당한 취지와 당위성을 더욱 제고하는 차원에서 신작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 '올해의 좋은 시' 賞은 매년 출판기념회와 함께 실시하며, 홈페이지를 통해 수상자를 발표한다. 영광의 수상 시인에게는 상패와 소정의 상금을 수여하고 있다.
    ▶ ‘올해의 좋은 시’ 賞은 선정한 작품 1000편 가운데, 참여 시인의 투표로 100편과 10편을 대상으로 하여 권위 있는 심사위원의 엄격하고 공정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다. ‘올해의 좋은 시’ 賞은 시인이 직접 참여, 선정하는 국내 최초의 유일한 시상 제도이다.

    ■ 선정 이유

    '詩人들의 祝祭'
    지난해와 마찬가지로「2010 올해의 좋은 시」수상시 심사는 뛰어난 작품들이 많아서 매우 어려웠다. 본심에 오른 열편 중 심사위원인 본인의 작품을 배제하고 나머지 9편을 대상으로 심사위원들이 3편씩 추천했다. 집계결과 2표를 받은 작품이 송재학의「공중」, 심보선의「나날들」, 이장욱의「겨울의 원근법」, 조용미의「얼룩」이었다.
    최종 후보작으로 조용미의「얼룩」과 이장욱의「겨울의 원근법」은 모두 자신만의 개성이 담긴 작품들이라 평가가 매우 어려웠지만, 이장욱의「겨울의 원근법」을「2010 올해의 좋은 시」로 선정하였다. -김백겸 시인(시인광장 주간)

    '詩적 기하학'
    이장욱 시편의 장점들을 추출하여 올해의 최우수 시편은「겨울의 원근법」이다. 원래 ‘원근법(perspective)’이란 3차원을 2차원으로 붙들어 매는 작업이자, 어떤 한 시점에서 물체와 공간의 멀고 가까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도상(圖像)적 방법이다. 당연히 거기에 필요한 것은 일종의 ‘거리’ 감각이다. 멀고 가까움, 그리고 그것에 대한 시선의 배치와 처리가 중요해진다. 언뜻 보아, 이장욱의 장기가 가능한 제목이라고 생각했다.
    이 시편은, 초기 시부터 현실과 상상의 경계 자체를 시화하였던 이장욱이 가시와 불가시, 시간과 공간을 혼용하면서 단정하고 박진감 있는 호흡과 문체를 다시 한 번 보여준 우리 시대의 시적 기하학이 아닌가 한다. 이장욱은 우리 시대의 거의 유일한 의미에서의, 다장르 작가이다. 하지만 여전히 그는 ‘시인’이다. -유성호(문학평론가, 한양대 교수)

    '상상력의 복잡성과 새로운 감수성'
    이장욱 시의 매력은 상상력의 복잡성과 그 복잡성이 증폭시키는 문맥의 애매성에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그는 산문으로 명료하게 환원할 수 없는 언어의 충돌을 다채롭게 전개하면서 새로운 감수성의 세계로 독자를 이끌어 간다. 독자의 상상력을 긴장시키면서 동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애매한 새로움. 주목했던 것은 바로 그의 이 같은 복잡하고도 미묘한 감수성이라 할 수 있다. 「겨울의 원근법」은 이러한 이장욱 특유의 감수성을 유감없이 보여준 작품으로 판단된다.
    -엄경희(문학평론가, 숭실대 교수)

    ■ 수상 소감

    시 쓰기라는 ‘마의 산’에서
    토마스 만은 12년의 세월을 바쳐『마의 산』을 완성한 뒤 이 작품을 “교육적 자기 훈련의 책”이라고 칭했다고 합니다. ‘교육’이나 ‘훈련’ 같은 단어에는 개인적으로 호감을 못 느끼는 편입니다만, 아마도 이 말은 주인공의 ‘성장’을 통해 작가 자신의 ‘성장’이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닐까 합니다. 다른 이가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을 더 나아가게 하는 것, 어쩌면 모든 글쓰기가 그렇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글 쓰는 사람이 글 속의 대상과 세계를 ‘성장’시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