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의 일이란 사람들이 예술에 대해,
더 나아가 삶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다.”
화폭 앞에서, 무대 위에서, 그리고 거리를 누비며
자신의 세계를 꿈꾸고 실현한 33인의 예술가들
미술, 음악, 건축, 영화 등 여러 예술 장르에서 예술적 영감과 재능을 발휘하여 자신의 이름을 곧 예술로 만들어낸 사람들. 화폭 앞에서, 무대 위에서, 그리고 거리를 누비며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고 실현한 예술가 33인의 이야기를 담은 『예술가의 일』이 출간되었다.
미치광이, 괴짜, 이단아, 이방인. 이 단어들은 모두 한 시대를 빛내고 인류사에 위대한 유산을 남긴 예술가들이 당대에 들었던 평가다. 미치광이라 불리며 건축학교를 꼴찌로 졸업한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 기행을 일삼았던 클래식계의 이단아 글렌 굴드, 발레 공연을 하다가 외설죄로 체포된 무용수 바츨라프 니진스키. 하지만 안토니 가우디는 성스러운 건축물로 바르셀로나를 세계적인 도시로 우뚝 세웠고, 글렌 굴드의 음악은 지구를 대표하는 음악이 되어 무인탐사선 보이저호에 담겼으며, 바츨라프 니진스키는 발레라는 장르를 현대예술 영역으로 이끌었다. 세계의 일반적인 흐름과 형태와 다르다는 이유로 저평가되기도 했던 이들은 이제 한 예술 장르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되어 예술사에 이름을 새겼고, 그들의 삶은 전설이 되었다.
『예술가의 일』은 예술가의 세계가 탄생하는 과정과 여전히 그 세계의 영향력 아래 살게 하는 주요 작품들을 통해 예술가의 일과 삶을 생동감 있게 담아냄으로써 ‘한 예술가의 세계는 어떻게 탄생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한다.『예술가의 일』은 매경 프리미엄에 인기리에 연재 중인 예술 에세이 ‘죽은 예술가의 사회’를 수정, 보완하여 묶은 책이다. 매일경제 신문사 기자이기도 한 저자 조성준의 필치는 읽기 쉽고 담백하면서도 깊이가 있다. 길지 않은 분량 안에 사회와 문화, 역사와 정치를 통해 시대를 풍미한 예술가들을 들여다보고 있기 때문이다.
데이비드 보위, 구스타프 말러, 장국영, 마르크 샤갈. 이들 또한 이름이 곧 예술을 대표하는 사람들이다. 하지만 우리는 데이비드 보위의 〈Space Oddity〉가 아폴로 11호의 달 탐사를 생중계하며 배경음악으로 깔렸다는 사실을, 구스타프 말러가 당대 최고의 정신과 의사이던 프로이트를 찾아가 고민을 털어놓았다는 것을, 마르스 샤갈이 히틀러의 숙청 대상이었다는 점은 좀처럼 알지 못한다. 『예술가의 일』은 이러한 이면의 이야기들을 통해 예술가의 삶과 작품을 단편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가가 ‘왜 그럴 수밖에 없었는가’, ‘왜 이러한 작품을 창조했는가’를 보여준다.
“당신이 편안하다고 느낀다면, 그건 당신이 죽었다는 뜻이다.” 데이비드 보위의 말이다. 장르를 불문하고 오로지 예술만을 위한 최대한의 삶을 살다가 떠나간 예술가의 모습, 삶의 풍파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일을 묵묵히 밀고나간 예술가의 모습에서 우리는 삶의 불굴의 의지를 읽는다.
저자 정보
조성준( 저자)
저자 : 조성준
저자 : 조성준
중앙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2014년부터 매일경제 신문사 편집부에서 근무했다. 온라인 뉴스플랫폼 매경프리미엄에 칼럼 ‘죽은 예술가의 사회’를 연재하고 있다.
목차
4 작가의 말
1. 경계를 지우고 먼 곳으로
14 화성에서 온 록스타 데이비드 보위
24 어려운 음악을 듣는 이유 구스타프 말러
36 이상한 것들의 마법사 다이앤 아버스
46 천재이면서도 천재만은 아닌 바츨라프 니진스키
2. 우직하게, 천천히, 한 걸음씩
60 일본이라는 환상의 시작 가쓰시카 호쿠사이
70 사막에서 다시 태어난 화가 조지아 오키프
82 겨울을 찍지 않은 감독 오즈 야스지로
90 다른 세상을 꿈꾸게 하는 목소리 어리사 프랭클린
98 그럼에도, 사랑의 색을 칠하다 마르크 샤갈
110 묵묵히 벽돌 하나를 더 쌓았다 안토니 가우디
3. 아물지 못한 상처
126 “내 고통은 초현실이 아니야” 프리다 칼로
136 잊혀지지 않을 슬픈 전설 천경자
148 비극 속에서도 피어난 봄 빌 에번스
158 1200억짜리 낙서 장미셸 바스키아
168 바람과 함께 사라진 청춘 장국영
178 위대하고 쓸쓸한 무표정 버스터 키튼
4. 전쟁터에 내던져진 싸움꾼처럼
190 영화를 찍으려 세상과 싸웠다 박남옥
198 20세기 예술의 수호자 페기 구겐하임
208 우연이 만들어낸 위대함 존 레넌
220 1896년생 나혜석과 1982년생 김지영 나혜석
232 서울에 불시착한 우주선 자하 하디드
246 여자의 몸은 여자가 그린다 수잔 발라동
5. 고독마저 그들에겐 재료였을 뿐
260 우주를 떠도는 음악 글렌 굴드
272 일본에선 ‘조센징’, 한국에선 ‘이방인’ 이타미 준
284 〈캡틴 마블〉에 너바나 음악이 나오는 이유 커트 코베인
296 영혼을 위로하는 만화 다니구치 지로
306 고독 뒤에 가려진 고독 에드워드 호퍼
316 어둠을 수집한 보모 비비안 마이어
326 평생을 애도의 마음으로 에드바르 뭉크
6. 예술과 삶이 만나는 시간
340 수수께끼를 그린 화가 르네 마그리트
352 인간을 고발한 좀비 아버지 조지 로메로
362 걷고, 걷고, 또 걷는 인간들 알베르토 자코메티
374 무엇이 인간을 움직이는가 피나 바우슈